[제9집]호주 한인문학의 이원성  | 윤정헌 |
[제9집]『숙향전』에 나타난 천정공간의 원리와 특징  | 신태수 |
[제9집]내방가사의 시대구분과 시대별 특성  | 권영호 |
[제9집]수사와 시의 요소로 본 눌재 박상 시의 특성  | 이구의 |
[제9집]퇴계학파의 도산서원 관련 시 연구  | 이정화 |
[제9집]원주방언의 어휘 분화  | 안귀남 |
[제9집]원주 지역어의 비모음화 현상 고찰  | 권기현 외 |
[제9집]원주 지역어 조사 연구의 발전 방안  | 신승원 |
[제8집]운곡시의 시사적 위상  | 변종현 |
[제8집]<하여가>의 이중 전승과 여말선초 시조사의 문제  | 이상원 |
[제8집]운곡원천석 시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 | 하정승 |
[제8집]운곡 원천석 시조의 정서와 전승의 맥락  | 박애경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