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2집] 耘谷 元天錫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 | 이구의 |
[제11집]이중모음 /ㅕ/의 핵모음 탈락 원인 고찰 - ‘켜다’, ‘펴다’를 중심으로 -  | 장지수 |
[제11집]현진건 기행수필 소고  | 윤정헌 |
[제11집]남명의 「유두류록」에 나타난 지명  | 곽재용 |
[제11집]漁村 沈彦光 시에 나타난 自我와 外物  | 이구의 |
[제11집]耘谷 元天錫의 自然觀 - 無欲·疏通·和樂으로서의 自然 -  | 김원준 |
[제11집]耘谷이 영위한 大同의 삶과 敎育 活動  | 정순태 |
[제11집]耘谷의 紀行詩와 空間經驗의 확장  | 이강옥 |
[제11집]耘谷의 昌平意識과 그 道德的 經世觀  | 신태수 |
[제10집]2000년대 소설의 원주시 재현 양상 - 이기호, 김희선 작가를 중심으로-  | 이미림 |
[제10집]향가의 ‘嗟辭’ ‧ ’詞腦’ 검토  | 권영호 |
[제10집]운곡 원천석의 제화시 고찰  | 황수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