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2집] 담화표지 ‘글쎄’의 발화 내용 관련 기능 간의 실현 양상  | 치웨이 |
[제12집] 박경리 <토지>의 ‘귀환거부’ 인물 고찰  | 김정희 |
[제12집] 이기호 소설의 구연방식과 정치적 상상력 연구  | 이미림 |
[제12집] <삼국유사> 효선편을 읽는 잣대  | 신종원 |
[제12집] 운곡 시의 후대 전승과 수용 양상 -시조를 중심으로-  | 권현주 |
[제12집] 운곡 원천석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  | 황수정 |
[제12집] 耘谷 元天錫 先生의 山水詩 硏究  | 이정화 |
[제12집] 耘谷 元天錫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 | 이구의 |
[제11집]이중모음 /ㅕ/의 핵모음 탈락 원인 고찰 - ‘켜다’, ‘펴다’를 중심으로 -  | 장지수 |
[제11집]현진건 기행수필 소고  | 윤정헌 |
[제11집]남명의 「유두류록」에 나타난 지명  | 곽재용 |
[제11집]漁村 沈彦光 시에 나타난 自我와 外物  | 이구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