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4집] 면암 최익현의 공직자상(公職者像)과 가치 지향  | 전성운 |
[제14집] 박경리 「토지」에 나타난 농촌의 지역성 인식 연구  | 장미영 |
[제14집] 한국현대소설 속 원주표상과 로컬리티 연구 - 원주 출신 및 거주 작가를 중심으로 -  | 이미림 |
[제14집] 원주지역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 | 정연수 |
[제14집] 박일송 시 연구  | 남기택 |
[제13집] 중부지방 적석총의 계통과 축조집단  | 김성태 |
[제13집] 젠더 인식에 따른 쓰기 담화의 수사학적 차이 연구  | 이철우 |
[제13집] 홍언 해방공간 소재 시조의 내용과 작가의식  | 김아연 |
[제13집] 치악산(雉嶽山) 주변 마을제의의 유형과 의미  | 최명환 |
[제13집]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 | 김금숙 |
[제13집] 김금원의 自己認識과 自己愛 실현에 대한 고찰  | 김지은 |
[제13집] 고전소설 속 강원도  | 엄태웅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