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3집] 홍언 해방공간 소재 시조의 내용과 작가의식  | 김아연 |
[제13집] 치악산(雉嶽山) 주변 마을제의의 유형과 의미  | 최명환 |
[제13집] 설화에 나타난 원주의 장소성과 문학지리  | 김금숙 |
[제13집] 김금원의 自己認識과 自己愛 실현에 대한 고찰  | 김지은 |
[제13집] 고전소설 속 강원도  | 엄태웅 |
[제12집] 담화표지 ‘글쎄’의 발화 내용 관련 기능 간의 실현 양상  | 치웨이 |
[제12집] 박경리 <토지>의 ‘귀환거부’ 인물 고찰  | 김정희 |
[제12집] 이기호 소설의 구연방식과 정치적 상상력 연구  | 이미림 |
[제12집] <삼국유사> 효선편을 읽는 잣대  | 신종원 |
[제12집] 운곡 시의 후대 전승과 수용 양상 -시조를 중심으로-  | 권현주 |
[제12집] 운곡 원천석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  | 황수정 |
[제12집] 耘谷 元天錫 先生의 山水詩 硏究  | 이정화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