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5집] 200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본 ‘인류세’의 환경인식 -편혜영 소설과 유형진 시를 중심으로-  | 윤준민 |
[제15집] 이인직의 『은세계』 재론  | 남상권 |
[제15집] 내설악 화전민 취락과 너새집 분포  | 김우선 |
[제15집] 『운곡시사』의 지명에 관한 연구 -강원북부 여행지를 중심으로-  | 김은철 |
[제15집] 한국 고대 예족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| 조영광 |
[제15집] 영서지역 예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 | 김성태 |
[제15집] 고대 영서지역의 종족적 정체성  | 김택균 |
[제15집] 元天錫의 會三歸一, 재평가와 계승  | 조동일 |
[제14집] 정찬의 「완전한 영혼」에 나타난 5‧18의 의미  | 류희식 |
[제14집] 돈오김 소설의 소재 확장방식  | 윤정헌 |
[제14집] 유몽인의 「유두류산록」에 나타난 지명  | 곽재용 |
[제14집] 울릉도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인식 - 안용복 도일 사건 이면에 누적된 공도화의 후과 -  | 남상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