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6집] 박경리 후기 산문의 여성성과 정치성 - 『원주통신』연작을 중심으로 -  | 김은하 |
[제16집] 시와 산문의 경계에서 얻은 체득적 깨달음의 실현 - 장영수의 시를 중심으로 -  | 김권동 |
[제16집] 구암(久菴) 한백겸(韓百謙)의 산문 세계 일고  | 권진옥 |
[제16집] 遯溪 許厚의 삶과 詩  | 윤재환 |
[제15집] 젠더 차이에 따른 토의 담화의 양상  | 이철우 |
[제15집] 2000년대 한국문학을 통해 본 ‘인류세’의 환경인식 -편혜영 소설과 유형진 시를 중심으로-  | 윤준민 |
[제15집] 이인직의 『은세계』 재론  | 남상권 |
[제15집] 내설악 화전민 취락과 너새집 분포  | 김우선 |
[제15집] 『운곡시사』의 지명에 관한 연구 -강원북부 여행지를 중심으로-  | 김은철 |
[제15집] 한국 고대 예족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 | 조영광 |
[제15집] 영서지역 예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 | 김성태 |
[제15집] 고대 영서지역의 종족적 정체성  | 김택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