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7집] 17세기 원주 지역에서 간행된 『가례언해』판본의 특징  | 문영은 |
[제17집] 원주시역사박물관 소장 차자표기 자료의 발굴과 소개  | 문현수 |
[제17집] 이만규(1889~1978)의 어학 관련 저술 검토  | 김병문 |
[제16집] 원주이씨 해남문중의 『용하도록』과 지역사 정보  | 김성태 |
[제16집] 「부론강」에 나타난 장소성 구축과 로컬 정체성 연구  | 이미림 |
[제16집] 「曠野」에 나타난 시적 주체와 노래의 장소성  | 이광형 |
[제16집] 간재 이덕홍의 선비정신 연구  | 이정화 |
[제16집] 박경리 후기 산문의 여성성과 정치성 - 『원주통신』연작을 중심으로 -  | 김은하 |
[제16집] 시와 산문의 경계에서 얻은 체득적 깨달음의 실현 - 장영수의 시를 중심으로 -  | 김권동 |
[제16집] 구암(久菴) 한백겸(韓百謙)의 산문 세계 일고  | 권진옥 |
[제16집] 遯溪 許厚의 삶과 詩  | 윤재환 |
[제15집] 젠더 차이에 따른 토의 담화의 양상  | 이철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