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5집]항재 정종영의 생애와 문중 선양사업  | 오영교 |
[제5집]원생몽유록의 등장인물 연구  | 원용우 |
[제5집]구암 한백겸의 실학적 학문관과 역사학 특징  | 강대덕 |
[제5집] 耘谷과 無爲堂의 諸宗敎一理論 : 600년을 뛰어넘은 原州 두 지식인의 종교적 대화  | 심재관 |
[제5집]여말선초의 정치적 변혁과 운곡 원천석의 도학정신  | 지교헌 |
[제4집]운곡선생의 시에 나타난 역사의식  | 심경호 |
[제4집]운곡문학에 나타난 유교이념 문제  | 원용문 |
[제4집]운곡 원천석의 시희와 「허동년중원이시견기분자위운 이십팔 수」  | 김동준 |
[제4집]운곡선생의 삶 재조명  | 신경철 |
[제4집]운곡 원천석 시문학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  | 김혈조 |
[제4집]운곡의 불교관에 대한 연구성과와 전망  | 심재관 |
[제4집]원천석 사상의 연구 성과와 전망에 대한 시론  | 이기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