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18집] 식민 담론, 타자화, 그리고 ‘민족적 에고이즘’ -나카니시 이노스케의 「불령선인」을 중심으로-  | 노상래 |
[제18집] 17세기 가사「시탄사(時歎詞)」분석  | 권현주 |
[제18집] 원주이씨 해남문중의『용하도록』속 문중사 정보  | 김성태 |
[제18집] 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시는 신령(神靈) 연구  | 김도현 |
[제18집] 조선시대 원주 지역의 불상과 불화 기록 분석  | 유근자 |
[제18집] 고대 원주지역의 전략적 가치와 麗・羅의 군사 전개  | 徐榮敎 |
[제18집] 인류학과 민속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  | 이창언 |
[제17집] 대답말 감탄사의 담화 기능 연구  | 치웨이 |
[제17집] 한국 근대소설의 ‘시각성’에 관한 연구 - 염상섭 『만세전』의 시각성을 중심으로 -  | 이희인 |
[제17집] 대구에서, 아버지를 그리다 - 『마당 깊은 집』과 『아들의 아버지』를 중심으로 -  | 노상래 |
[제17집] 운곡 원천석 시에 나타난 이동성(移動性) 고찰  | 김금숙 |
[제17집] 『운곡시사』의 지명에 관한 연구 Ⅱ - 경상도 및 동해안을 중심으로 -  | 김은철 |